Max Planck-Yonsei IBS Center (MPYIC) Fellow 모집
연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IBS) 나노의학연구단(IBS Center for Nanomedicine)은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Max Planck Society)와의 협력을 통해 Max Planck–Yonsei IBS Center for Nanomedicine(이하 MP 센터)을 설립하였습니다. 본 MP 센터는 세계 최고 수준 과학 창출과 국제적 파급력 확보를 위한 막스플랑크(Max Planck Society) 연구소의 공인된 장기 국제 협력 플랫폼으로, 이를통해 글로벌 리더 기관으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인재를 모집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과 지원 바랍니다.
1. 모집분야 및 지원자격
근무지 |
직종 |
채용분야 (수행업무) |
지원자격 및 우대사항 |
인원 |
연세대학교 |
연구직/ |
Nanomaterials chemistry - 나노물질 합성 및 분석 |
[지원자격] 화학, 재료, 화공, 물리, 전자/전기 및 유관 전공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근무시작일 기준 3개월 이내 학위 취득 예정자 [우대사항] |
0명 |
연구직/ |
Biomedical engineering - 자성유전학 이용한 뇌신경회로 원격 제어 기반 뇌과학 연구 |
[지원자격] 생명공학, 의생명과학, 분자세포생물학, 면역학 등 유관 전공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근무시작일 기준 3개월 이내 학위 취득 예정자 [우대사항] |
0명 |
2. 전형절차
가. 1단계 서류전형
나. 2단계 면접전형 (발표평가 포함)
※ 전형 단계별 합격자에 한하여 2단계 면접전형을 실시함(개별 통보)
3. 제출서류: 이력서 (CV) 1부
※ 이력서는 특별한 형식을 지정하지 않으나 이력서 상단에 위 모집분야 중 하나를 명시하여야 함
4. 근무조건
가. 세계적 수준의 연구환경 및 근무조건: 최첨단 IBS 독립연구건물 근무 및 연구환경(장비, 시설) 제공, 독일 Max Planck Institute 협업 기회 제공
나. 급여조건: Post-doc 연봉 4,500~6,500만원 (경력에 따라 협의 후 결정)
다. 근무 시작일: 면접 후 최종 결정
라. 기타지원사항: 외국에서 입국하는 Post-doc의 경우, 협의에 따라 이주비 일부 지원 가능
5. 접수방법 및 기간
가. 접수방법: 지원자 CV E-mail 제출
- 이메일 주소: ibs@yonsei.ac.kr, jhyun_lee@yonsei.ac.kr, minsuk.kwak@yonsei.ac.kr
- 이메일 제목: 2025-박사후연구원-성명
나. 지원서 접수 기간: 2025.06.04 (수) – 채용시까지
6. (참고자료) IBS 나노의학연구단 핵심 연구 주제
가. 스마트 나노-로봇 (Nanorobot)
과학자들은 미래 나노의학은 나노로봇이 만들어 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나노로봇은 기존 나노의학의 한계로 지적됐던 표적 특이성의 부재 및 off-target 부작용 효과 등 약물 전달 개선 뿐 아니라, 더 직접적으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어, 아주 작은 외과의사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 연구단에서는 화학적 합성법을 통해 자성 나노입자와 다공성 구형 케이지로 구성된 엔진/클러치 나노로봇 제작에 성공하였습니다[1]. 이렇게 구동하는 나노로봇은 세포와 결합해 생체 신호를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무수히 많은 정보를 코딩해 기억 및 연산 기능을 가지는 ‘나노로봇의 지능화’가 가능합니다. 현재 본 연구단에서는 매우 다양하고 통제되지 않은 체내 환경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원하는 조직, 세포까지 침투에 들어가서 목적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나노로봇의 디자인과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나. 나노-자기유전학 (Magnetogenetics)
본 연구단은 자기장을 이용해 뇌 세포를 원격으로 무선 제어하는 자기유전학 (Magnetogenetics) 기술을 개발하여, 나노-뇌과학 분야를 세계적으로 선도하고 있습니다[2-4]. 이 기술은 세계 최초로 살아있는 동물에 적용 가능한 자기유전학 기술로, 뇌 과학 분야의 혁신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신경 회로와 뇌 신호를 제어해 동물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으며, 인간의 뇌에도 적용 가능해 뇌 정신 질환 치료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 자기유전학 기술의 근본적인 과학적 이론과 적용 범위를 넓히는 플랫폼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자기유전학이 많은 생명과학 및 의학 연구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도약하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IBS 나노의학연구단 참고문헌]